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프리미어 키프레임 모션 기초

by Winterday Film 2024. 4. 20.

1. 키프레임의 이해

 

키프레임(Keyframe)은 Video와 Audio에서 'Motion'이 시작되는 기준점이다. Vedio와 Audio에서 임의로 변화를 줄 때 프레임(Frame)에 점으로 표시되는데, 수치값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 키프레임을 조절하여 영상에 애니메이션을 주는 것이다. 키프레임을 편집하기 위하여 Effect Controls 패널을 연다. 여러 개의 항목에서 공통적인 것은 왼쪽에 스톱워치 모양의 Toggle Animation과 오른쪽 끝의 회전 화살표 모양의 Reset Parameter이다. Toggle Animation을 클릭하면 Reset Parameter의 왼쪽에 삼각형 화살표와 동그란 키프레임(Add/Remove Keyframe)이 생기고, 오른쪽 인디케이터가 위치한 프레임에 마름모 모양의 키프레임이 입력되고 파란색으로 바뀐다. 같은 위치에서 Add/Remove Keyframe을 클릭하면 해당 키프레임이 삭제된다. 클립의 전체 키프레임을 모두 삭제하고 싶으면 Reset Parameter를 클릭하고, Toggle Animation을 클릭하여 기본값으로 돌려놓는다. Video의 Position, Scale, Rotation, Opacity 등의 기본 항목들과 Effects 패널의 여러 가지 효과들에 키프레임을 입력하여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만든다. Audio에서도 원하는 지점에 키프레임을 입력하여 소리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2. 키프레임 적용해보기

 

처음 시작하면 화면을 어두운 검은색 바탕에서 영상이 서서히 나타는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연습을 한다. Timeline에 영상 클립을 가져와서 시작에 적절한 부분으로 편집한다. 클립의 가장 첫 프레임으로 인디케이터를 위치한다. 클립이 선택된 상태로 Effect Controls 패널의 Opacity 항목에서 Toggle을 클릭하면 오른쪽에 키프레임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Effect Controls 패널의 오른쪽 공간은 키프레임만 보여주는 타임라인이다. Timeline 패널과 마찬가지로 상단에는 시간 눈금자와 인디케이터가 있고, Timeline 패널과 동일한 위치를 나타낸다. 영상 클립의 처음 화면을 보이지 않게 하려면 Opacity의 수치를 0%로 낮춘다. 숫자는 클릭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고, 마우스로 움직여 조절하여도 된다. 키프레임이 위치한 프레임에 0%로 입력하면 화면이 검게 변하여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인디케이터를 오른쪽으로 조금 움직이고 100%를 입력하면 화면이 나타난다. 영상을 재생해 보면 검은 화면에서 서서히 화면이 나타나는 애니메이션이 완성되었다. 투명도의 조절은 Effect Controls 패널에서도 할 수 있지만, Timeline에서도 간단히 할 수 있다. Timeline 패널의 눈 모양 아이콘의 오른쪽 빈 공간을 더블클릭하거나 트랙 사이의 선을 드래그하여 트랙을 늘여주면 클립 이름 아래에 선이 생기고 그 아래에 빈 공간이 생긴다. 선에 마우스를 대어 보면 오디오 트랙과 마찬가지로 위아래 화살표가 생긴다. 이때 키보드 Ctrl를 누르면 화살표가 흰색으로 바뀌고 + 모양이 나타난다. 그리고 마우스 왼쪽 버튼을 클릭하면 점이 생기는데, 이것도 키프레임이다. 이 키프레임을 클릭하여 위아래로 움직여보면 투명도 수치가 나타난다. Timeline에 키프레임이 생성되면 Effect Control 패널의 Opacity 항목의 같은 프레임에 동일하게 키프레임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영화 같은 인트로 만들기

 

간단한 키프레임 애니메이션으로 영화 같은 인트로를 만들어본다. Project 패널에 영상을 불러와서 Timeline 패널에 영상 클립을 V1 트랙으로 드래그하면 Sequence가 만들어진다. 검은색 화면의 가운데가 서서히 열리면서 시작되는 애니메이션을 하기 위하여 'Color Matte'를 만든다. Color Matte는 색종이라고 말할 수 있다. Project 패널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거나 패널의 우하단에서 New Item - Color Matte를 클릭한다. 'New Color Matte'의 작은 대화창이 뜨는데 'Video Settings' 항목에는 기본적으로 현재 Sequence의 세팅대로 설정이 되어있고 Color Matte의 크기를 임의로 지정하여도 된다. 세팅 그대로 OK를 클릭하면 Color Matte의 색을 지정할 수 있는 'Color Picker'의 대화창이 생긴다. 지금은 검은색 화면에서 시작하는 영상을 만들기 위하여 검은색 Color Matte가 필요하므로 검은색을 지정하고 OK를 클릭하면, 'Choose Name' 대화창에서 이름을 입력할 수 있다. 알아보기 쉽게 입력하고 OK를 클릭하면 Project 패널에 검은색의 Color Matte가 생성된다. 이 Color Matte를 타임라인에 있는 V2 트랙으로 옮긴다. Colro Matte를 영상의 가장 앞쪽으로 정렬하고, 클립의 뒷부분에서 ] 모양의 빨간색 괄호가 생기면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드래그하면 'Duration'이 표시되는데, '00:00:02:00'으로 맞추면 2초 길이의 클립이 된다. 다음은 Effects 패널의 돋보기 아이콘 옆의 입력란에 'Crop'을 입력한다. 'Video Effects - Transform - Crop'에서 Crop을 Color Matte에 드래그하거나, Color Matte가 선택된 상태로 Effects 패널의 Crop을 더블클릭하면 Effect Controls 패널에 적용이 된 것을 볼 수 있다. 인디케이터를 Color Matte의 가장 앞 프레임으로 옮기고 Crop의 Top 항목에서 Toggle을 클릭하면 키프레임이 생성되고, 수치는 50%로 입력한다. 다음은 인디케이터를 Color Matte의 가장 뒷 프레임으로 옮겨놓고 Crop의 Top 항목에서 100%를 입력하면 키프레임이 생성된다. 영상을 재생해 보면 화면의 절반만 검은색으로 시작하여 아래로 열리는 애니메이션이 된다. 타임라인에서 키보드의 Alt를 누르고 Color Matte를 드래그하여 같은 프레임 위치의 V3 트랙으로 복사한다. 똑같이 복사된 Color Matte에는 Crop이 똑같이 적용되어 있다. 이 복사된 Color Matte를 선택한 상태에서 Effects 패널에 'Vertical Flip(세로로 뒤집기)'을 입력하여 더블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Color Matte에 적용한다. 영상을 재생해 보면 가운데에서 위아래로 열리는 애니메이션이 완성된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