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단한 자막 만들기
자막 작업을 하기 위해서 Tools 패널의 알파벳 T자로 되어있는 Type Tool(단축키 T)을 선택한다. Editing 패널에서 자막 작업을 해도 되지만, 'Workspaces - Captions and Graphics' 패널에서 작업하면 자막이나 그래픽 작업을 하는 데에 최적화되어 있다. Type Tool을 선택하고 Program 패널에서 원하는 부분에 클릭하여 빨간 네모 상자가 생성되면 글자를 입력하면 된다. Program 패널에 Type Tool로 클릭하면 Timeline에 바로 Text 클립이 생성된다. Text 클립도 비디오나 이미지 클립과 마찬가지로 길이를 조절하거나 자르고 디졸브를 주고, Motion에서 위치나 크기,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다. Essential Graphics 패널의 Edit 탭에서 폰트 종류, 두께와 크기, 폰트의 정렬이나 자간 등을 조절한다. 글자를 입력하면 Effect Control 패널에 Text 항목이 생성되는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폰트를 수정할 수 있다. Timeline에서 Text 클립이 선택되면 글자를 수정할 수 있는데 Essential Graphics의 Edit 탭에 입력한 자막의 레이어로 생성되고 아래에 여러 항목들이 나타난다. Align은 화면 안에서 자막 레이어의 정렬을 선택한다. Position으로 직접 수치를 조절하거나 Program 패널에서 자막을 직접 선택하여 위치를 옮긴다. Text 항목에서 폰트의 종류를 선택하고 크기를 지정하거나 폰트의 세부 설정을 한다. Appearance 항목에서 Fill은 폰트의 색을 지정한다. Stroke은 폰트의 테두리, Backgroud는 폰트의 아래에 자막바를 설정한다. Shadow는 자막의 그림자를 설정한다.
2. 색보정 Lumetri Color
우리가 촬영한 영상의 원본은 각 카메라 제조사들의 고유한 색감을 기본으로 표현하고 있다. 어떤 카메라의 색감이 본인이 원하는 느낌을 잘 표현하는지 알아보는 것도 카메라 선택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형광등 불빛 아래에서 촬영했을 때와 백열등의 색을 표현하는 노란색의 빛이 있는 환경에서 촬영할 때의 색이 다르게 보인다. 이렇게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한 원본 영상이지만 색보정을 통하여 평범하게 찍은 일상이나 여행에서 촬영했던 영상을 색보정을 거쳐 더 특별한 감성을 담은 영상으로를 표현할 수 있다.
프리미어에서 색보정은 Lumetri Color 항목에서 조절한다. Effects 패널에서 Lumetri Color를 검색하여 나온 항목을 타임라인의 영상에 드래그하거나 더블클릭하면 원본 영상의 Effect Controls 패널에 Lumetri Color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Workspaces - Color' 패널로 이동하면 영상에 적용하지 않아도 Lumetri Color 패널이 있어서 변경하고자 하는 클립을 선택하여 바로 색보정을 할 수가 있다. 이렇게 원본 영상에 바로 색보정을 적용하여도 되지만, 여러 개의 클립에 동일한 색보정을 주고 싶을 때 일일이 클립마다 적용하거나 수정하게 되면 작업에 효율이 떨어진다. 그럴 때 Adjustment(조정 레이어)를 사용한다. Adjustment는 보기에는 투명하지만 색보정을 적용하였을 때 필터처럼 활용할 수 있다.
Project 패널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거나 우하단의 New Item에서 Adjustment를 선택한다. 작은 대화창이 뜨면 설정은 건 드릴 필요 없이 OK를 클릭하면 Project 패널에 빈 화면의 Adjustment가 생성된다. 이것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타임라인에 있는 원본 영상의 윗 트랙으로 옮긴다. 영상 클립과 마찬가지로 길이를 조절하고, 편집으로 자르거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Adjustment를 선택하면 Lumetri Color를 바로 설정할 수 있고, Effects 패널에서 동일하게 Lumetri Color을 적용할 수도 있다.
Basic Correction 항목에서 기본적인 영상 색감이나 밝기를 조정한다. White Balance는 색감으로 전체적인 화면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데, 푸르거나 따뜻한 색감을 조절한다. Exposure은 노출을 의미하여 전체적인 밝기를 조절한다. Contrast는 밝고 어두운 톤의 대비를 줄이거나 강하게 조절한다. Highlights는 영상에서 밝은 부분의 밝기를 조절하고, Shadows는 영상에서 어두운 부분의 밝기를 조절한다. Whites와 Blacks는 영상의 매우 밝은 흰색에 가까운 부분과, 매우 어두운 검은색에 가까운 부분의 밝기를 조절한다. Curves, Color Wheels & Match, HSL Secondary에서 더 세밀한 색 조정을 할 수 있다. Vignette에서는 화면의 가장자리를 어둡거나 밝게 조절할 수 있다.
3. 영상 저장하기
편집을 마친 Timeline의 영상 클립들을 하나의 영상으로 출력해야 한다. 영상의 처음에 인디케이터를 옮겨 단축키 I(In)를 누르면 시간 눈금자에 왼쪽 괄호가 생기고, 영상의 마지막 부분에 인디케이터를 옮겨 단축키 O(Out)를 누르면 오른쪽 닫히는 괄호가 생긴다. 이 괄호를 움직여 원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File - Export - Media' 또는 단축키 Ctrl + M을 누르면 출력될 영상의 마지막 설정을 할 수 있다. File Name에 영상의 이름을 입력하고, Location에 영상을 저장할 위치를 선택한다. Preset에는 출력할 수 있는 영상의 설정이 다양하게 있는데, More Presets를 클릭하면 작은 대화창이 열린다. 'YouTube 1080p Full HD'를 선택하면 유튜브에서 가장 적합한 세팅으로 설정을 할 수 있는데, 촬영한 원본과 가장 비슷한 설정을 선택하면 된다. 그러면 Format은 H.264로 설정된다. 아래의 VIDEO와 AUDIO의 체크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우하단의 Export를 클릭하면 Encoding의 작은 창이 뜨면서 렌더링이 되고 영상이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