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손떨림 보정 효과
카메라로 동영상을 촬영할 때 삼각대로 촬영하는 경우에 흔들림이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삼각대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거나 가볍게 야외에서 촬영을 할 경우에 컴퓨터로 촬영본을 확인하면 생각보다 화면의 떨림이 심한 경우를 경험할 것이다. 아무리 숨을 참고 찍어도 결과물을 보면 흔들림 때문에 난감할 때 프리미어에서 간단한 효과로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역시 촬영할 때 최대한 흔들리지 않게 촬영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프리미어에서 'Warp Stabilizer'라는 효과를 사용하면 어느 정도 흔들린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Effects 패널에서 Warp Stabilizer을 검색하여 영상에 적용하면 Program 패널에서 볼 수 있는 영상 가운데에 파란색 메시지 상자가 나타난다. 효과를 적용할 영상을 분석하는 중인 것이다. 그리고 Effect Controls 패널에 적용된 Warp Stabilizer 효과에 0%부터 100%까지 효과를 적용하는 작업이 진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moothness 항목에 기본값은 50%로 되어있는데, 영상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만드는 정도를 의미한다. Somoothness는 최대 10%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보통은 2~5% 정도로 적용해도 효과가 잘 적용된다. 100%까지 작업이 완료되면 Program 패널의 메시지 상자가 없어진다. 영상을 재생해 보면 원본 영상보다 조금 확대되면서 화면의 움직임이 부드러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arp Stabilizer를 적용할 수 있는 촬영 본의 조건은 셔터스피드를 높게 촬영해야 한다. 셔터스피드가 낮을수록 잔상이 생기는 Motion Blur 현상으로 효과를 적용하기 힘들다. 그리고 적용할 한 클립 안에 다양한 샷의 크기가 있으면 효과를 적용하기에 부적절하다. 그럴 경우에는 Warp Stabilizer를 적용할 부분을 잘라서 효과를 적용한다.
2. 속도조절로 영상에 재미를 더하기
영상에서 강약 조절과 템포 조절은 지루하지 않고 시선을 잡아두는 방법이 된다. 영상 클립의 속도 조절을 통하여 지루한 장면은 빠르게 넘어가고, 부드럽게 느린 화면을 넣어 영상의 다양한 연출을 하게 되면 영상의 완성도를 올려줄 수 있다. 가령 책상에 앉아 책을 보는 장면을 빠르게 돌려 시간이 경과하는 모습을 연출하거나, 나뭇잎이 바람에 날리는 모습을 슬로우 모션으로 천천히 보여주어 감성이 담긴 영상을 연출하기도 한다.
속도를 변경하여 연출할 영상의 클립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Speed/Duration' 항목을 클릭하면 작은 대화창이 뜬다. Speed는 % 단위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기본값은 100%이고 100보다 낮으면 영상의 속도가 느려지고, 높으면 빠르게 된다. Speed를 조절하면 Duration이 함께 변하는데, Duration은 영상 클립의 길이 조절로 속도가 변한다. 처음은 영상 클립의 시간이 표시되고, 시간을 조절하면 Duration도 함께 변한다. 'Reverse Speed'는 영상 클립의 처음과 끝을 바꿔 거꾸로 재생되게 한다. 'Maintain Audio Pitch'는 영상 속도를 조절했을 경우에 오디오 길이도 함께 바뀌는데, 속도가 빨라지면 소리가 매우 가늘게 변하고 느려지면 소리가 두껍게 변조되지 않게 원본 오디오의 음역대를 유지시켜 준다. 'Ripple Edit, Shifting Trailing Clips'는 속도 변화로 영상 클립의 길이가 줄거나 늘어났을 때, 뒤에 있는 클립을 함께 앞으로 당겨주거나 뒤로 밀어준다.
3. 슬로우 모션 촬영에 유의할 점
영상 클립의 속도를 느리게 하기 위해서는 촬영할 때 유의할 점이 있다. 우리가 보는 영상은 1초 단위 안에 몇 프레임의 정지된 이미지들이 연속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30fps(프레임)으로 촬영된 영상을 2배의 길이로 늘이면 재생 시 보이는 속도는 느리게 보이지만, 1초에 30장의 이미지로 보이던 영상이 15장의 이미지만 보이게 되어 뚝뚝 끊겨 보일 것이다. 그렇다면 30프레임 영상으로 2배 슬로우 모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60프레임으로 촬영하여 슬로우 모션을 적용하면 1초당 30프레임이 담겨 자연스러운 영상이 된다.
그리고 촬영 시 셔터스피드를 '프레임 수 X 슬로우 모션의 배수'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60프레임으로 촬영하여 2배 슬로우 모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셔터스피드를 1/120으로 설정한다. 셔터스피드가 높을수록 한 장에 담기는 이미지에 모션 블로어 같은 잔상이 적어져 깔끔한 영상을 담을 수 있는데 슬로우 모션을 적용했을 때도 퀄리티 높은 영상을 만들 수 있다.